Page 49 - Demo
P. 49
습니다. 대학 연구실의 열악한 환경을 극복하면서 2014년도에 인증제를 신규로 취득한 이후, 2년마다 재인증 획득하고, 올해 5차 재인증 심사를 받는 연구실을 보며, 아직도 많이 부족하지만 이제 대학에도 연구실 안전의식이 높아지는 모습을 볼 때 크게 감동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실에서 배출된 석·박사 졸업생들은 사회의 전문연구소에서 누구보다 안전의식을 가지고 이공학 연구자로 성장할 것으로 믿습니다. 또한, 대구에 소재하고 있는 정부 모 기관에서는 인증제의 활동수준분야에서 가장 모범적인 사례를 심사과정에 확인하였으며, 인증제를 준비하는 타 기관의 벤치마킹 연구실로 추천하고 있습니다.인증제 심사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지적하기보다 개선 사항을 이해되도록 설명해서 각 연구실에 심사를 받은 이후에 더 안전한 연구실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재인증을 염두에 두고 역할을 다하고 있습니다만 제한된 시간이라 아쉬움이 종종 있습니다.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연안법)의 법제화를 통해 대학의 연구실 안전의식이 크게 향상되었다고 자부하고 있는 한 사람으로서 요즘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는 것은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가 대학의 연구실 안전에 크게 기여한 것과 함께 교육적인 측면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규제개혁위원회에서 법제화된 인증제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은 더 큰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다만, 다행인 것은 각 대학의 많은 교수님들의 연구실 안전의식이 높아지는 점이 크게 고무적이라 생각합니다.현직에서 연구실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하시는 분들은 타 기관의 벤치마킹을 통해 동기부여 및 안전한 연구환경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획득하시기를 제언 드립니다. KOHA 연구실49